송풍기 선정 방법 (링블로워 터보블로워 팬 등)
1. 용도
- 흡입용, 토출용
- GAS 종류
2. 환경
3. 동력
4. 풍량 풍압
송풍기 종류, 쓰임새가 많은 만큼 송풍기를 선정하는 데 있어서 고려할 사항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크게 위의 3가지를 고려해서 선정해보겠습니다.
------------------------------------------------------------------------------------------------
1. 용도
①흡입용 or 토출용
송풍기는 기본적으로 바람을 흡입해서 토출하는 기계이며, 흡입용 토출용 둘 다 사용이 가능합니다. 흡입용일 경우 압력을 ‘-’로 표시(마이너스)하고, 토출일 경우 압력을 ‘+’로 표시합니다.(토출인 경우 표시안하는 경우도 많음)
②공기 종류
대기(일반적 공기)의 경우 문제가 없지만 특수한 가스인 경우 각 블로워에 따라 쓰임이 제한적입니다. 블로워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는 따로 포스팅을 하겠으며, 자세한 사항은 전화로 문의주시면 상담을 받으실 수가 있습니다.
2. 환경
블로워 설치 환경도 고려할 수 있는 대상 중 하나입니다. 설치 장소의 넓이(협소함의 정도), 습도, 소음의 민감성, 전기효율도, 배관사이즈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동력
전기 소모, 현장 전기 등을 고려하며, 동력 계산은 설계시 매우 중요한 항목입니다.
4. 풍량 풍압
송풍기 효과성 극대화와 유지 보수 AS 차원에서 소요 풍압과 풍량에 잘 맞는 블로워를 선정하는 일이 중요하며, 특히 인버터 설치를 하지 않은 경우 가변영역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잘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성능곡선도를 보면 X축(가로축) Y축(세로축)이 풍압 풍량 으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회사마다 다 다름)
이 중 선정 과정에서 동력 고려를 제외하고, 특별한 환경적 요소가 없다는 가정하에 보면,
먼저 고려할 것은 풍압 입니다.
왜냐하면
첫째, 풍압 풍량 둘 중 어느 것도 모자람이 없어야 하며,
둘째, 모자람 없이 고려된 후 남는 풍량은 바이패스(bypass)로 배출이 가능하다는 이유입니다.
(풍압은 바이패스 등으로 조절을 할 수 없습니다. 단, 바이패스로 풍량 배출시 약간의 압손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요구되는 풍압 풍량을 먼저 계산하고 동력을 선정하는 경우도 있으며, 동력을 먼저 계산하고 이후 풍압 풍량을 고려해서 설계하는 경우가
있으나, 향후 과정에서는 풍압 풍량을 먼저 고려하는 경우로 진행하겠습니다.)
이후 구체적 예시를 들어 송풍기 선정을 해보겠습니다.
'송풍기 사양 선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송풍기 사양 선정 4편 - FAN (1) | 2018.03.05 |
---|---|
송풍기 사양 선정 3편 - 터보블로워 (0) | 2018.03.05 |
송풍기 사양 선정 2편 - 링블로워 (2) | 2018.03.05 |